KOROMOON

착한 사마리아인이 되고 싶습니다.

3/10/2018

대한민국 고령화


( 1 ) 고령화

우리나라의 고령화는 EU 국가들이나 일본에 비해 진행 정도는 늦지만 진행 속도는 매우 빠른 편임.
2000 년 - 고력화 사회 진입
2025 년 -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 전망
고령층 증가 -> 고령친화산업의 성장

가장 규모가 큰 인구 집단인 베이비붐 세대와 포스트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를 시작하였거나 조만간 은퇴할 예정임.
아직 고령층에 대한 정밀한 분석이 부족하다는 것이 큰 문제임.


( 2 ) 베이비붐 세대

6.25 전쟁 직후인 1955 ~ 1963년 기간에 태어난 세대 (현재 54 ~ 62세)
현재 약 700만명으로 전체 인구 대비 13.6 % (2015년 기준)

1950년 한국전쟁 이후 사회가 안정되며 미루어왔던 결혼과 출산이 크게 증가하던 시기에 태어난 세대임.
빠르게 경제가 성장하던 시기에 20대 중반에 접어들며 사회진출을 시작하였으며 30대 중반에서 40대 초반까지 고성장 시기에 사회활동을 하며 안정적인 경제적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음.
이전 세대에 비해 학력이 높으며 서구문화를 청소년기부터 접하여 문화적으로 자부심이 매우 강한 세대임.
기존의 고령층과 달리 자신의 나이에 비해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젊어지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자아실현이나 취미활동 등을 통한 소비활동에 매우 적극적임.

평균 결혼 연령 : 남자 약 27 ~ 28세, 여자 약 24 ~ 25세
평균적인 자년수는 2명에 조금 미치지 못하는 정도임.


( 3 ) 포스트 베이비붐 세대

1964 ~ 1974년 기간에 태어난 세대 (현재 43 ~ 54세)
현재 약 950만명으로 전체 인구 대비 18.8 % (2015년 기준)

베이비붐 세대에 비해 경제적 여건이 많이 개선되었으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진 상황에서 유년기를 보냄.
즉, 이전 세대의 유년기 환경과 비교하면 경제적 풍요와 치열한 경쟁이라는 변화가 있었음.

포스트 베이비붐 세대는 세대 구성이 매우 지질적임.
386 세대로 불리는 1960년대 중반 출생자와 X 세대로 불리는 1970년대 출생자는 성장배경과 사회진출 시 경제적 상황이 크게 다름.
특히, 졸업 후 사회진출에서 두 집단은 매우 큰 차이를 겪음.
386 세대의 대졸자들은 취업에 큰 어려움을 겪지 않았지만 X 세대의 상당수는 졸업 시기와 외환 위기가 겹치면서 사회 진출에 어려움을 겪음.
이에 따라 외환 위기 이후에 졸업한 X세대는 사회 진출 초기에 더 많은 어려움을 겪었을 뿐만 아니라 사회에서 안정된 지위를 확보한 다음에도 직장 내에서 계속 치열한 경쟁을 겪음.

한편으로는 이질적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유년기에 경제적 풍요와 치열한 경쟁을 겪었다는 점과 베이비붐 세대에 비해 개인주의적인 성향이 더 강해졌다는 공통적인 요소를 가짐.

386 세대 평균 결혼 연령 : 남자 약 28세, 여자 약 25세
X 세대 평균 결혼 연령 : 남자 약 30세, 여자 약 28세 (출산율이 낮음 - 1.2명 내외 지속)


( 4 ) 에코 세대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 세대
1979 ~ 1992년 기간에 태어난 세대

이들이 태어난 시기에 출산율은 과거에 비해 크게 낮아졌으며 핵가족화가 심화되어 가구원 수도 이전에 비해 감소함.
이전 세대와 달리 부모 세대에서 이룩한 고속성장의 결실을 태어나면서부터 누리고 자람.
과거 세대에 비해 연령별 인구는 줄었지만 사회인프라는 크게 확충되어 모든 측명에서 더 좋은 환경을 누림.
에코 세대가 대학에 입학할 무렵에는 대학 정원이 크게 증가하여 대학졸업자의 비율이 이전 세대에 비해 월등히 높아짐.
사회진출은 2000년대 중반부터 시작되어 아직도 진행 중임.

이 시기에 우리나라 경제는 본격적인 저성장 기조에 접어들어 에코 세대로부터 본격적으로 취업난이 심화되기 시작함.
이전 어떤 세대보다도 더 유복한 유년기를 보냈지만 사회진출 시기에 경제가 저성장 기조로 변화되면서 취업난이 심화됨.
따라서 에코세대는 자신들의 생애주기에서 경제적 상황이 악화되는 것을 경험한 유일한 세대라 할 수 있음.

평균 결혼 연령 - 남자 약 32세, 여자 약 28세


( 5 ) 인구구조 변화



2000년대에 들어 우리나라의 인구는 완만하게 증가하고 있지만 고령층의 비중은 매우 빠르게 높아지고 있음.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아래와 같음.
2000년 7.22 % -> 2017년 14% -> 2040년 40% 전망

우리나라는 저출산으로 인해 출생자 수가 감소하는 반면 기대수명이 증가하여 고령인구의 비중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특히, 인구 수가 많은 베이비붐 세대와 포스트 베이비붐 세대가 고령층으로 진입하면서 이런한 추세는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됨.

베이비붐 세대와 포스트 베이비붐 세대는 기존의 고령층과는 여러 가지 면에서 다른 특징이 잇음.
기존 고령층에 비해 학력이 높고 문화적 개방도가 높은 편이고 개인주의적인 성향이 강함. 그리고 자신을 위한 소비(취미 와 건강관리 등)가 적극적인 성향을 보임.

이미 베이비붐 세대는 2015년부터 60세에 진입하였고 2020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연금을 받는 고령층으로 편입되기 시작함. 그리고 포스트 베이비붐 세대는 2020년대 중반부터 은퇴를 시작할 것임.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2020년대에는 우리나라 고령층의 질적 변화가 본격화될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음.
고령층의 소비문화는 크게 바뀔 것으로 보이며 고령친화산업의 규모가 크게 확대되고 지금보다는 고부가가치 서비스가 활성화될 것임.
고령친화산업의 성장뿐만 아니라 고령층이 내수를 주도하는 핵심적인 소비자층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음.


※ 산업연구원에서 발췌함.

댓글 없음:

댓글 쓰기